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암묵적 타입 변환
- 주니어개발자
- prettier
- TypeScript
- useMemo
- Sparkplug
- useEffect
- 좋은 PR
- Render Queue
- prettier-plugin-tailwindcss
- CS
- type assertion
- 프로세스
- Custom Hook
- 명시적 타입 변환
- useCallback
- useLayoutEffect
- React.memo
- react
- JavaScript
- Dockerfile
- 타입 단언
- Microtask Queue
- Compound Component
- linux 배포판
- docker
- task queue
- AJIT
- Event Loop
- Headless 컴포넌트
- Today
- Total
목록네트워크 (6)
구리
CORS란 Cross-Origin Resource Sharing의 약자로 직역하면 교차 출처 자원 공유를 의미합니다. 출처(Origin)란 출처란 서버의 위치를 찾기 위한 정보로 URL을 봤을 때, scheme(protocol) + host(domain) + port로 정의합니다. 일반적으로 http, https 프로토콜 사용시 기본 포트 번호(80, 443)가 정의되어 있어 생략이 가능하지만 출처에 포트 번호가 명시되어 있다면, 포트 번호까지 모두 일치해야 같은 출처로 인정됩니다. 하지만 이 케이스에 대한 명확한 정의가 표준으로 정해진 것은 아니기에, 경우에 따라서 같은 출처 혹은 다른 출처로 판단될 수 있습니다. SOP (Same Origin Policy) 웹 생태계에서는 다른 출처로의 리소스 요청을..
캐시란?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나 값을 미리 복사해 놓은 임시 장소를 가리킵니다. 캐싱을 통해 처리 속도를 향상시키고 향후 요청을 더 빠르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웹 캐시는 사용자가 웹사이트 접속시, 정적 컨텐츠(JS, CSS, 이미지 등)를 특정 위치에 저장해 웹사이트 서버에 해당 컨텐츠를 매번 요청하지 않고 특정 위치에 불러옴으로써 사이트 응답시간을 줄이고, 서버 트래픽 감소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캐시 기본 동작 캐시가 없을 경우 클라이언트는 서버에서 리소스(star.jpg)를 최초로 요청 서버는 HTTP header가 0.1M, HTTP body가 1M인 총 1.1M 크기의 사진 데이터를 전송 클라이언트는 응답 결과를 화면에 보여줌 클라이언트는 이후 동일 이미지에 대해 매번 서버에게 요청해 응답 ..
HTTP에 대해 공부하며 정리한 글입니다. 이전 글에서도 보다시피 세션, 쿠키는 HTTP의 무상태라는 특징으로 무상태로 설계할 수 없는 케이스(로그인 유지)에 사용된다고 했습니다. 그런데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기억하지 않는다면 쿠키, 세션을 사용하지 않고 클라이언트의 모든 요청에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면 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할 수도 있지만 그렇게 되면 보안 이슈도 있고 개발자는 모든 요청에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도록 개발해야 하기에 굉장히 번거로워질 수 있습니다. 그러면 쿠키, 세션은 무엇일까요? 쿠키 쿠키 정의 HTTP 쿠키는 클라이언트(브라우저) 로컬에 저장되는 key, value 형태의 작은 데이터 파일 문자열 형태만 가지며, 최대 4KB의 제한 용량을 가짐 쿠키 매커니즘 (로그인으로 가정..
HTTP에 대해 공부하며 정리한 글입니다. 모든 것이 HTTP HTTP란?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HTML 문서를 가져올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토콜이지만 이제는 HTTP 메세지에 거의 모든 형태의 데이터(HTML, Image, JSON 등)를 담아 전송합니다. 서버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도 대부분 HTTP를 사용합니다. HTTP의 역사를 간단히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HTTP/0.9 1991년 - GET 메서드만 지원, HTTP 헤더 X HTTP/1.0 1996년 - 메서드, 헤더 추가 HTTP/1.1 1997년 - 가장 많이 사용되며 TCP 프로토콜 기반 HTTP/2 2015년 - 1.1 버전에서 성능 개선이 되었으며 TCP 프로토콜 기반 HTTP/3 진행중 - ..
HTTP에 대해 공부하며 정리한 글입니다. 1. URL 이름이 비슷하며 헷갈릴 수 있는 URI, URL, URN에 대해 알아봅니다. URI, URL, URN이란? URI(Identifier) - 자원을 식별 (서울 사는 김철수) URL(Locator) - 리소스의 위치를 지정 (서울) URN(Name) - 리소스 이름을 부여 (김철수) 자원의 위치는 변할 수 있지만 이름은 변하지 않으며 URN 이름만으로는 실제 리소스를 찾을 수 있는 방법이 보편적이지 않습니다. Q) 그런데 주소창에는 URL만 검색해도 원하는 자원을 얻을 수 있습니다. 위의 개념대로라면 주소창에는 URL + URN을 같이 입력해야 하지 않을까요? 만약 URL에 여러 자원이 존재한다면 서버는 정확히 어떤 자원을 원하는지 어떻게 알 수 있을..
HTTP에 대해 공부하며 정리한 글입니다. 1. 인터넷 네크워크 HTTP도 인터넷 네트워크 기반으로 동작하기에 알아야 하는 개념입니다. 1-1. IP(인터넷 프로토콜) 클라이언트, 서버는 인터넷이라는 수많은 노드 서버를 거쳐 메세지를 주고 받습니다. 이때 수많은 서버들을 거쳐 전송해야 하기에 정보를 수신, 송신하는 통신규약을 정했는데 이를 Internet Protocol이라고 합니다. IP는 지정한 IP 주소(IP Address)에 패킷(Packet)이라는 통신 단위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즉, IP는 서로 다른 컴퓨터에게 메세지를 전달할 수 있도록 정해진 규칙으로 규칙의 내용을 다음과 같습니다. (Protocol : 통신을 원활하게 하는 통신 규약) 클라이언트 패킷 전달 1. IP 패킷에 ..